캠프힐운동

"큰나무캠프힐은 칼 쾨니히에 주창된 캠프힐을
오늘날 우리의 상황에 알맞은 방식으로 
펼쳐나가고자 합니다."

캠프힐이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1940년 칼 쾨니히가 스코틀랜드 에버딘에 처음 설립,

현재 전 세계에 100여개

칼 쾨니히는 기독교적 사랑과 함께
루톨프 슈타이너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입었음

겉으로 드러난 세계 이면에 담겨진 온전한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함

참여 장애인과 함께 하우스 페어런츠,
단기·장기 자원봉사자, 코워커 등으로 구성


한국에서는 발달장애인의 거주와 직업에 대한
성인기 대안적 모델
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

큰나무캠프힐

"누구나 거쳐 가는 생로병사의 인생길에서,
내 앞에 와 있는 한 사람에 대하여,
'왜' 라는 물음을 갖고, 진정한 마음으로 바라봅니다. "

함께가는사람들, 큰나무학교로 이어진
교육협동조합 구성원들이 2017년 강화에 설립

생애발달주기에 따른 적절한 지원을 모토로 영유아,
학령기를 거쳐 성인기에 와 있음

따뜻한 돌봄(care)과 건강한 독립(seperate)을 지향

발달장애인의 자립, 지역사회와 융합, 적절한 일자리,
주체적인 삶에 관심을 두고 있음

일하며 배우고 살아가는 통전적인 삶의 터를 실현

카페, 제빵소, 농장, 거주하우스 운영

강화군 양도면 강화남로 428번길 70-11

케어팜

"건강한 대지에 뿌리내리는 식물처럼
누구나 다 자신의 자리에서 제대로 된
정착을 이뤄내기를
"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큰나무 사회적 농업의 실현지

농업 활동을 통하여 교육, 돌봄, 치유, 고용을 이루어 감


양계, 양봉, 화훼, 노작 등의 활동을 주로 함


비가림 하우스 2동, 양계 80수, 노지 1,000평, 틀밭 200평


벌꿀, 밀납초, 계란, 작약, 고구마, 감자, 들기름 생산 판매


발달장애 청년들의 일자리이면서 전환의 교육장

카페·제빵소

"수혜자에 입장에 놓여있는 발달장애인이
누군가의 도움이 되고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

발달장애 청년들의 일자리


지역주민들과 소통의 공간


no 우유, no 계란, no 설탕, no 첨가제
엄선된 유기농밀가루로 만든 천연발효빵


고음질 오디오 음악실에서 음악감상, 영화상영, 라이브공연


개방된 공간,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세상,
환대의 공동체를 향하여

032-937-3173

교육프로그램

"교육은 결국 자신의 선택이고 결정이라고 하면
그 배움을 결정할 권한은 본인에게 주어져 있다."

체육, 미술, 수공예, 밀랍초만들기, 요리, 춤, 자기관리


나들길걷기, 영상만들기, 사회적 농업 등 
지원사업 프로그램 
진행


인근 지역 도움반 학생들과 함께 전환농업 교육


원예, 도예, 제빵, 밀랍초 등의 교육은 직업활동과 연결

캠프힐운동

"큰나무캠프힐은 칼 쾨니히에 주창된 캠프힐을
오늘날 우리의 상황에 알맞은 방식으로 펼쳐나가고자 합니다."
캠프힐이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1940년 칼 쾨니히가 스코틀랜드 에버딘에 처음 설립, 현재 전 세계에 100여개

칼 쾨니히는 기독교적 사랑과 함께 루톨프 슈타이너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입었음

겉으로 드러난 세계 이면에 담겨진 온전한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함

참여 장애인과 함께 하우스 페어런츠, 단기·장기 자원봉사자, 코워커 등으로 구성

한국에서는 발달장애인의 거주와 직업에 대한 성인기 대안적 모델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

큰나무캠프힐

"누구나 거쳐 가는 생로병사의 인생길에서, 내 앞에 와 있는 한 사람에 대하여, 
'왜' 라는 물음을 갖고, 진정한 마음으로 바라봅니다. "

함께가는사람들, 큰나무학교로 이어진 교육협동조합 구성원들이 2017년 강화에 설립

생애발달주기에 따른 적절한 지원을 모토로 영유아, 학령기를 거쳐 성인기에 와 있음

따뜻한 돌봄(care)과 건강한 독립(seperate)을 지향

발달장애인의 자립, 지역사회와 융합, 적절한 일자리, 주체적인 삶에 관심을 두고 있음

일하며 배우고 살아가는 통전적인 삶의 터를 실현

카페, 제빵소, 농장, 거주하우스 운영

강화군 양도면 강화남로 428번길 70-11

케어팜

"건강한 대지에 뿌리내리는 식물처럼
누구나 다 자신의 자리에서 제대로 된 정착을 이뤄내기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큰나무 사회적 농업의 실현지

농업 활동을 통하여 교육, 돌봄, 치유, 고용을 이루어 감

양계, 양봉, 화훼, 노작 등의 활동을 주로 함

비가림 하우스 2동, 양계 80수, 노지 1,000평, 틀밭 200평

벌꿀, 밀납초, 계란, 작약, 고구마, 감자, 들기름 생산 판매

발달장애 청년들의 일자리이면서 전환의 교육장

카페·제빵소

"수혜자의 입장에 놓여있는 발달장애인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

발달장애 청년들의 일자리

지역주민들과 소통의 공간

no 우유, no 계란, no 설탕, no 첨가제 / 엄선된 유기농밀가루로 만든 천연발효빵

고음질 오디오 음악실에서 음악감상, 영화상영, 라이브공연

개방된 공간,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세상, 환대의 공동체를 향하여

교육프로그램

"교육은 결국 자신의 선택이고 결정이라고 하면
그 배움을 결정할 권한은 본인에게 주어져 있다."

체육, 미술, 수공예, 밀랍초만들기, 요리, 춤, 자기관리

나들길걷기, 영상만들기, 사회적 농업 등 지원사업 프로그램 진행

인근 지역 도움반 학생들과 함께 전환농업 교육

원예, 도예, 제빵, 밀랍초 등의 교육은 직업활동과 연결

거주하우스

"누군가의 자리를 인정함
그 자리에 딸린 권리를 인정하고
나아가 그 권리를 주장할 권리를 인정하는 것"

발달장애인의 성인기뿐만 아니라 그 이후를 보장하는 삶의 자리

가족같은 관계안에서 안정적으로 삶을 영위해 나감

사적인 생활을 보호받을 권리가 있음

음악감상, 영화상영, 마을산책, 운동 등 여가활동

거주하우스

"누군가의 자리를 인정함은
그 자리에 딸린 권리를 인정하고
나아가 그 권리를 주장할 권리를 인정하는 것"

발달장애인의 성인기뿐만 아니라 그 이후를 보장하는 삶의 자리


가족같은 관계안에서 안정적으로 삶을 영위해 나감


사적인 생활을 보호받을 권리가 있음


음악감상, 영화상영, 마을산책, 운동 등 여가활동